
유스 대표단 1기 (2024)
우리가 만든 순간들
<6. 앰네스티 유스 북클럽-기후정의>
익숙해진 것 같다가도 영 익숙해지지 않는 더위가 이어지던 2024년 8월, 기후위기가 가져오는 두려움을 함께 마주하고 조금 더 샅샅이 이야기 나누고자 앰네스티의 유스들을 모아보았어요.
우리는 기후위기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기후위기의 책임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요? 이대로 점점 기후가 나빠진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네 번의 만남 동안 세 권의 책을 읽으며 우린 체감하고 있는 더위를 넘어 조금더 멀리, 각자가 가진 기후정의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1주차 : 『기후에 관한 새로운 시선』 엠마


기후위기를 얘기할 때 있어서 중요한 것이, 정체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비인간, 동물에게까지 확장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개인적 차원에서 기후위기가 개인에게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공론장이 나오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솔직하게 말하면, 공론장 얘기가 회의적으로 느껴지기도 하지만요. 더불어, 인지하는 것 혹은 계몽으로 변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근대적인 믿음일 수도 있다고 봐요. 요즘에는 사회를 움직이게 하는 정동이 무기력이기 때문에, 기후위기를 대응하기 더 힘들어지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2주차: 『이끼숲』 천선란


3,4 회차 『아스팔트를 뚫고 피어난 꽃 』 가산 하게 외 9인


저는 타자화와 기후위기를 연관 지어서 생각해 본 적은 없던 것 같아요. 그런데 책에서 그런 부분을 잘 설명해 줘서 좋았어요. 우리가 누군가를 타자화했기 때문에 폭력을 저지를 수 있었고 그로 인해서 기후위기와 기후위기를 만들어 낸 자본주의, 식민주의가 강화될 수 있었다는 맥락을 이해할 수 있었어요. 한편으로는, 타자화하지 않는다는 건 이 사람이 나와 그렇게 막 단절된 존재가 아니라는 거를 인식하는 거일 텐데 그렇다면 어쨌든 존재를 아는 것부터 해야 하는 거잖아요. 이 사람들의 존재를 하나하나 파악한다는 것이 쉽지 않을 테니까. 타자화하지 않겠다고 결심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들을 타자화하고 있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중동 지역에서 환경 문제가 여전히 뒷전으로 밀려나 있거나 사치스러운 대의명분으로 취급받기 일쑤인데, 그런 이유는 사실 무관심하거나 몰라서가 아니고 그 지역은 분쟁 같이 당면한 문제가 너무 많잖아요. 군사 점령이나 차별 이런저런 것들이 너무 많으니까 그것보다 환경을 우선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는 부분을 읽으면서 기후정의를 고민한 것 같아요.중동 지역의 분쟁이 굉장히 많은데, 사실 그것도 선진국이라 불리는 국가나 그들이 점령한 역사. 그로 인해 생긴 분쟁의 여지, 그런 식민주의의 문제를 생각해 봐야만 한다고 봐요. 계속 나오는 이야기지만, 기후위기 문제에 접근할 때, 탄소 배출 줄여야 한다는 일차원적인 접근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관련 글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1. 유스 나잇(1)> 2025.03.13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1. 유스 나잇(2)> 2025.03.19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2. 지역포럼&국제총회> 2025.03.20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3. 퀴어 고민 토크쇼> 2025.03.28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4. Youth Rights, Right Now ! > 2025.04.03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5. 한국과 대만의 퀴어퍼레이드> 2025.04.08
- 블로그 우리가 만든 순간들: <7. 학생인권법 기자회견 & 연대발언> 2025.04.16
-
블로그 |
2025.03.13
우리가 만든 순간들: <1. 유스 나잇(1)>
-
블로그 |
2025.03.19
우리가 만든 순간들 <1. 유스 나잇(2)>
-
블로그 |
2025.03.20
우리가 만든 순간들: <2. 지역포럼&국제총회>
-
블로그 |
2025.03.28
우리가 만든 순간들: <3. 퀴어 고민 토크쇼>
-
블로그 |
2025.04.03
우리가 만든 순간들: <4. Youth Rights, Right Now ! >
-
블로그 |
2025.04.08
우리가 만든 순간들: <5. 한국과 대만의 퀴어퍼레이드>
-
블로그 |
2025.04.16
우리가 만든 순간들: <7. 학생인권법 기자회견 & 연대발언>